오늘 처음으로 지각했다


학교 다니면서 지금까지 지각을 해본 경험이 없다.

지금 현재 기억하는 것으로는 고등학교 때 3년 연속으로 개근상을 받았다. 이유는 수상내역이 하나라도 더 있어야 대학교 수시 지원 평가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은 7년 안에 처음으로 지각했다. 원래 시간 약속을 잘 지키고 성실하다고 스스로 생각해왔는데 오늘은 잠시 침대에 누워서 생각한다는 것이 1시간 취침으로 바뀌었다.

그래도 약속시간 보다 1시간 뒤에 도착한 것이 아니라 7분 늦은 것에 다행이다. 엄청난 차질은 없었지만 기다린 친구들에게 너무나 미안하다. 아직 학기가 끝마치려면 한참 남았지만 이번 학기는 왠지 자신이 없고 무기력함을 평소보다 자주 느끼는 것 같다. 이유를 모르겠다. 오히려 이번 학기에 기운도 넘치고 자신이 있어야만 될 것 같은데 정말 이상하다. 무엇이 잘못 됐는지 알고 싶지만 알 수 없다.


처음으로 지각한 것에 크게 죄책감을 느끼고, 다음부터는 절대 늦지 않겠다고 다짐한다. 하.

다시 자러 가봐야겠다.

'그냥 Just because >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 퀴즈를 봤다.  (0) 2018.10.06
오늘은 시험을 봤다.  (0) 2018.10.01
게으름을 이겨내는 힘  (0) 2018.09.29
공부를 하다보면  (0) 2018.09.29
교육 봉사 방학하기 마지막날  (0) 2018.06.29

게으름을 이겨내는 힘


이겨내는 힘을 기르면 어떠한 슬럼프가 와도 견뎌낼 수 있을 것 같다.

집중하는 힘을 기르자.

그게 말처럼 쉽지만은 않겠지만 인간으로서 견뎌내야 할 부분인 것 같다.

성공한 사람들 중 어떤 사람이 고통과 역경을 겪지 않았을까. 없을 것이다.

잠을 줄여가면서, 다들 생활했다.


미래에 평범한 사람이 되고 싶지 않다면, 지금 나는 왜 평범하게 살고 있는가.

평범하게 살고 싶지 않다면, 평범한 사람들과 같이 행동해서는 안된다.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항상 원대하고 거대한 꿈을 꾸지만 막상 현실에서 실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더군다나 아예 꿈이 없는 사람들도 많다.(꿈이 없는 사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다. 잘못된 것이 아니다.)

목표가 있고 간절함이 있으면 못할 것이 없다고 하는데 나는 참 특이한게 목표는 있는데 간절함이 부족한 것 같다.

집에 믿을 구석도 없고, 보장된 것도 하나 없는 내가 왜 간절함이 부족한지 내가 내 자신을 생각했을 때 조차 이해되지 않는다.

나는 항상 비관적이고 비판적이었는데 어느 순간 또 낙관적이게 변한 것 같다.


누군가 댓글로 쓴소리를 해준다면 정말 감사히 여기고 열심히 살 것 같습니다.

이 무지함과 게으름 속에서 구해주십시오.

(정말 문맥도 어긋나고 글을 못 썼지만 이것은 일기이기 때문에 I do not care at all, but I feel sort of bad to those whom may be reading this in the future.)

'그냥 Just because >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은 시험을 봤다.  (0) 2018.10.01
오늘 처음으로 지각했다  (0) 2018.09.30
공부를 하다보면  (0) 2018.09.29
교육 봉사 방학하기 마지막날  (0) 2018.06.29
자신의 형편을 알아보는 방법  (0) 2018.06.27

공부를 하다보면


꼭 이렇게 좌절하고 슬럼프 같은 시기가 오는 것 같다.

어떤 때가 되면 언제 보다 예민해지고 모든 일에 신경이 쓰인다.


괜히 다른 사람에게 화가 나기도 하고, 물건한테 화가 나기도 한다.

사실 더 화를 내야 할 대상은 자신인 것을 알고 있는데도 말이다.

자신이 부족하고 불완전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를 다른 사람과 사물에 화내고 있으니 자기 자신이 보기에도 한심해 보인다.


TA, RA라고 불리우는 Teaching Assistant, Researching Assistant 사람들도 보기 싫다.

같이 공부하는 사람이지만 보기 싫다.


아무래도 이유는 간단한 것 같다. 지식을 쌓은 사람들은 거만해진다. 평생 공부만 해온 사람들에게는 지식과 자신이 해온 공부가 최대 자산이기 때문에 남들에게 절대 지기 싫어하는 특징이 있는 것 같다.


어렸을 적 부터 부모님으로부터 지식을 쌓았어도 절대 자만하면 안된다고 했지만, 사람은 가진 것이 많으면 많을수록 지식이 많으면 많을수록 드러내고 싶어하고 힘들어한다.


최근에 공부를 하다가 잘 안돼서 이런 일기를 쓰게 되는 것 같다. 너무 힘든 것은 아닌데 나도 모르게 요즘 집중이 잘 안된다. 무슨 일인지 모르겠다.


'그냥 Just because >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처음으로 지각했다  (0) 2018.09.30
게으름을 이겨내는 힘  (0) 2018.09.29
교육 봉사 방학하기 마지막날  (0) 2018.06.29
자신의 형편을 알아보는 방법  (0) 2018.06.27
세상에는 부자가 많다  (0) 2018.06.27

취업하면 끝인 줄 알았습니다.


"""


취업하면 끝일 줄 알았는데 인생에 채워지지 않는 무언가가 있는 느낌입니다.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까요?


"""



요즘 젊은 청년들이 착각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 동일합니다. 


" 취업을 하면 끝인 줄 알았으나, 무엇인가 허무하다. "


이런 상담 내용이 많은 이유는 간단합니다. 왜냐하면 말그대로 취업(구직)을 전부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어떠한 인생이 구직을 하면 인생이 전부 해결 되나요? 이런 생각은 고등학생들이 하는 생각들과 비슷합니다. 고등학생들은 대학교에 입학만 하면 인생이 끝날 것이라고 생각하고 수학능력시험(수능)이 끝나면 실컷 놉니다. 취업하면 인생이 끝날 줄 알았다는 생각은 고등학생들과 하는 생각 방식과 동일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돈을 번다고 인생이 완전해지나요? 아닙니다. 



[상담 결과]

돈을 많이 번다고 무언가가 보장됐다고 인생이 끝나지 않습니다. 취미를 만드세요. 좋아하는 게 있어야 인생을 즐길 수 있습니다. 좋아하는 것을 먼저 찾으세요. 주변을 돌아보세요. 그리고 더 이후 미래를 계획해보세요. 20대, 30대에만 머무르지 않고 40대 50대 60대 체계적으로 더 계획해보세요.

대한민국 중산층의 기준


당신이 생각하는 대한민국 거주 중산층의 기준은 무엇인가?

자신이 생각한 중산층의 기준을 다음 보기에서 하나만 골라 보아라


1. 부채 없는 아파트 30평 이상 소유


2. 월 급여 500만원 이상


3. 예금액 잔고 1억 이상 보유


4. 명절 때 조카들 용돈 줄 때 스트레스 받지 않는 가정


5. 엘레베이터에서 만나는 사람에게 인사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진 가정


6. 남 잘되는 것에 배 아파하지 않는 정신상태



당신은 몇 번째 답변을 선택했는가?

1번? 2번?


이건 미래지향적 person 필자의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필자의 생각은 위 문항과 조금은 다르다. 

" 필자는 얼마나 많은 자산을 가지고 있느냐 보다 얼마나 베풀 수 있는지 "진짜 중산층의 기준이라고 생각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