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대기획 10부작 학교란 무엇인가 4부, 학교란 무엇인가 4 - 세계최고의 고등학교


하버드 대학생, 코넬 대학생, 에머슨 대학생이 졸업한 고등학교를 소개하는 영상이다.

하버드 대학생은 한국의 민족사관고등학교를 졸업하였고

코넬 대학생은 인도의 마요칼리지를 졸업하였다.

에머슨 대학생은 토마스제퍼슨학교를 졸업하였다. 


처음부터 민족사관고등학교에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기숙사 생활을 한다. 그리고 아침마다 검도, 합기도 등 한국 전통 무술로 체력을 훈련한다.

그리고 대부분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며, 학생들에게 주입식 교육보다는 깨달음을 주는 교육을 많이 실시한다.(대학교 전공 기초 수업 등을 통해 학생들이 어떤 전공을 공부하고 싶은지 깨닫게 해준다. 정말로 그 전공이 내가 하고 싶은 공부인지.. 일반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대학교에 입학하지만 그 전공에 대한 정보만 있을 뿐 구체적인 경험이 없기 때문에 대학 입학 후 후회하거나 본인의 결정을 바꾸고 싶어하는 경우가 잦다.) 그리고 학생들 자체적으로도 많은 동아리 활동과 기숙사 내에서 자치회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민족사관고등학교 (민사고)에서 추구하는 하나의 정신이 있다면, 본인의 성공을 위해서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민족(세계의 소수를)을 위해서 공부한다. 는 정신이 있다. 그래서인지 많은 학생들이 졸업 후 본인의 이익을 챙긴 이후 여유가 생긴다면 자선 사업이나, 남을 간접적이라도 돕는 일을 하고 싶다고 했다. (이러한 사고는 교내에 다양한 활동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된다.) (사실 학생들이 17살, 18살이지만 이런 생각을 한다는 것 자체가 대단하지만, 방송용 인터뷰 답안인 것 같기도 하다. 많은 학생들이 난 무엇무엇이 되고 나서, 여유가 되면 돕겠다. 라고 했는다. 사실 돈맛을 먼저 보면 그곳에서 헤어나오기 쉽지 않다. 그냥 그들의 인터뷰 답안 내용이 와닿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민족사관고등학교 학생들은 대부분 한국인이고, 해외로 유학을 다녀온 한국인 학생들 혹은 국제중학교, 이런 엘리트 코스를 밟은 학생들이 많다. (즉,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집안에서 온 학생들이 많다.)


두번째로, 인도의 마요칼리지이다. 민족사관고등학교에 교육정신과 목표가 있다면, 마요칼리지는 종교 색채가 있다. 기상 후, 식사 전, 인도의 신을 경외하고 숭배한다. 인도라는 국가의 색채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 학교도 마찬가지로 기상 후 아침 운동을 하고, 영어로 수업하며, 발표와 토론 수업이 많다고 한다. 영상에는 무언가 많이 나온 것 같은데 딱히 

기억에 남을만한 것이 없었던 것 같다. 그리고 자국 학생들이 대부분이었다. (100%라고는 확신을 못하겠다.  그리고 한 가지 더 느끼는 거지만 인도에서 영어를 10년 배우는 것 보다 영어권 나라에서 2년 배우는게 훨씬 낫다고 생각되었다. (한국 영어도 마찬가지이지만, 인도인의 인도식 영어는 알아 듣기 정말 어렵다. 다른 동남아 친구들 영어는 잘 알아들을 수 있었는데 인도는 예외였다.)

세번째로, 미국의 토마스 제퍼슨 학교이다. 이 곳은 고등학교가 아니다. 한국의 KSA 같이 그냥 학교이다.(중학교를 졸업해야 입학할 수 있는 학교가 아니라.) 이 학교에는 OR 이라는 작문 테스트를 굉장히 혹독하게 훈련시킨다. 이 것이 곧 사회에 나갔을 때 엄청나게 탄탄한 기본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이해는 가지만 상상하기 어려웠다. 미국인들이 작문을 하는데 시제가 틀리고, 문법이 틀렸다고? 얼마나 잔인하게 평가하는 것인지 상상하기 어려웠다. 마치 한국어로 일기를 쓰는데 한 일기를 시제나 문법이 틀렸다고 표현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10번 넘게 고쳐 써가는 것이랑 다를 게 없다.. 그리고 이 학교는 인도 학교와 다르게 굉장히 소수 정예로써 학생들에게 자유로운 책임감과 의무를 준다.(서양 학교들이 대부분 개인을 존중하는 문화가 있기에 학생들에게도 책임이나 의무가 덜한 것 같다.) 그래서 학생들에게도 학교를 추천해줄 때 학생성적을 대학순위에 맞추지 않고, 그 학생이 더 성장할 수 있고, 더 적응하고, 그 학생에게 더 맞는 학교를 교장선생님이 직접 추천해주기도 한다. 개인이 중요시에 되기에 멋진 조직이 형성되는게 아닌가 싶다.
반면 한국은 조직이 우선시 되기 때문에 개인의 성장이 더디어서 사회에 나가서 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것 같기도 하다.


교육대기획 10부작 학교란 무엇인가 7부, 책읽기, 생각을 열다


이 영상을 다 보긴 했다. 그런데 노잼.


이건 노잼이라 패스 

Elon Musk, 대담한 도전  / 엘론 머스크, 대담한 도전


Elon Musk 대담한 도전 책을 정말 간단하게 요약하겠다.

그는 처음부터 성공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처음부터 똑똑한 것도 아니다.

그는 노력을 기반으로 재능을 얻었다. 

그가 말하기를 '본인이 생각하기에 가치있는 일이라고 생각하면 나아가라', '세상을 보다 좋은 환경으로 만들 수 있다면 주저 말고 나아가라.' 

그가 말한 위 두 문장만 이해해도 이 책을 이해했다고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 책 내에는 더 많은 내용들이 있다. 

그가 어떻게 실패하고, 어떤 부분에서 자금 조달 문제가 발생했고, 투자자들의 자금을 반환 못했을 시에 주가 문제 발생으로 그가 어떻게 대처했는가 .. 이런 내용들이 계속해서 나온다.

그는 투자자들ㄷ로부터 투자금을 유치해서 창업하고 성공하고 부자가 되고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으로 순탄하게 살아오지 않았다.

물론 최빈국가에서 태어나 교육도 못 받는 사람들과 비교하면 어릴 적부터 계속해서 교육을 받아 왔지만, 그 역시 실패했을 때 투자자들에게 받은 투자금을 어떻게 돌려줄 수 있을지 계속 고민하고 낙담했다.

하지만 그는 Space X 를 창업하고 이후 몇년 동안 계속 실패를 거듭했지만, 그가 하지 않은 것은 포기다. 수년 동안 계속 실패했지만 절대 포기하지 않았다. 그리고 우주선 발사에 성공했다.

그는 세상을 조금 더 발전시킬 수 있다면,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면 계속했다. 

이 것 또한 엘론 머스크, 그에게서 배울 수 있는 기업가 정신 중 하나라고 생각된다.

공부하는 힘

 

요악하자면 이것을 집중하는 방법을 공부하기 위한 책이 아니다. 하지만 '몰입'을 배울 수 있는 책이다.

The book is not about the concentration that we used to know, but it is about the 'immersion'.


 1. 수험생을 위한 하루 15시간 공부비법

   - 1. 수면이 부족해서는 안된다. 적어도 6~7시간은 자야한다

   - 2. 매일 규칙적으로 30분간 운동한다. (i.e. 줄넘기, 달리기, 체조 간단한 것도 좋다.)

   - 3. 온몸에 긴장을 풀고, 느긋하게, '슬로우 싱킹' 방식으로 공부한다. 슬로우 싱킹이란 학습에 필요한 뇌 부유만 풀가동시키고, 나머지는 휴식을 취하게 하는 것이다.

   - 4. 두뇌가동률을 최대로 올려야 한다.

   - 5. 과목을 수시로 바꾸지 말고, 한 과목을 충분히 오래 공부한다. - 한 달이상 한 과목만 파고든다.

   - 6. 암기 보다는 이해와 사고 위주의 학습을 한다.

   - 7. 자투리 시간에 몰입도를 떨어뜨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 8. 선택과 집중을 한다. -> 우선순위를 가려 노력을 기울여야 할 대상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는 말이다.

   - 9. 반복학습을 한다. -> 우리 뇌는 무엇이든 반복하면 그것을 중요하다고 판단해 장기기억으로 보낸다.

   - 10. 공부에 대한 최대 구동력이 만들어지도록 의도적인 노력을 수시로 한다. -> 구동력을 만드는 방법은 다양한데, 대체로 '~하려면 나는 최선을 다해서 공부해야 해!' 라는 식으로 최선을 다해야 할 이유를 찾는 것이다.


 2. 무기력도 학습된다.

 - 셀리그만은 이를 ' 학습된 무기력 aka learned helplessness' 이라고 명명했다.


 3. 낙천성, 실패를 견디는 에너지

 - 실패를 견디려면 실패를 실패로 간주하지 않는 낙천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실패는 성공으로 가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라고 여겨야 한다는 말이다.


 4. 칼 비테의 조기교육

 - 아버지의 철저한 조기 교육 때문에, 칼 비테는 9세가 될 무렵 6개 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였고, 10세에 괴팅겐 대학에 입학하였고 13세에 기젠대학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6세 때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베를린 대학의 법학부 교수로 임명되었다.


 5. 대학원 과정은 대학과정과 무엇이 다른가?

 - '대학을 졸업할 떄까지는 이미 알려진 지식을 배운다. 교과 과정에 나와 있는 지식을 내것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다. 그런데 대학원 과정에서는 두 가지를 더 훈련한다. 하나는 필요한 지식을 스스로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이고, 다른 하나는 필요한 지식을 스스로 창출하는 능력이다. 이 것이 아주 중요한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는 일을 다 시 해봤자 세상은 1에서 n이 될 뿐이다. 익숙한 것이 하나 더 늘어날 뿐이라는 말이다. 그러나 뭔가 새로운 것을 창조하면 세상은 0에서 1이 된다. 창조라는 행위는 단 한 번뿐이며, 창조의 순가도 단 한번 뿐이다. 그 한번의 창조로 세상에는 낯설고 신선한 무언가가 처음으로 생겨난다.

지금 우리는 21세기를 20세기보다 더 평화롭고 번창하는 시대로 만들어줄 새로운 기술을 상상하고 또 창조해내야 하는 어려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독점기업의 특징 1. 독자 기술 2.네트워크 효과 3. 규묘의 경제 4. 브랜드 전략 5. 

독점기업 세우기 1 .작게 시작해서 독점화하라 2. 몸집 키우기 3. 파괴하지 마라 4. 라스트 무버가 되어라.


사회적 기업의 함정

사회적 목표와 재무 목표 사이의 모호함도 문제였지만, 사회적 이라는 단어의 모호함이야말로 더욱 큰 문제였다. 사회적으로 좋은 것은 사회를 위해서 좋은 것인가, 아니면 그저 사회가 보기에 좋은 것인가? 모두에게 칭찬을 받을 만큼 좋은 것은 보편적으로 그렇게 인정되는 것들밖에 없었다. 예컨대 그린에너지 같은 일반적 아이디어 처럼 말이다.


즉 우리는 0에서 1을 만들어내야 한다. 그래야만 단순히 지금과 다른 미래가 아니라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다. 그러기 위해 꼭 필요한 첫 번째 단계는 스스로 생각해보는 것이다. 처음 고대인들의 눈에 비친 세상이 낯설고도 신기했던 것처럼, 새로운 눈으로 세상을 볼 때만이 우리는 세상을 재창조할 수 있다. 그리고 오직 그때에만 미래가 올 때까지 세상을 보존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