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I did silly thang again...




To move into Uni dormitory, every student should checkup before moving, but I did it almost a couple months ago except for chest X-ray .







So I said, "I did everything except for chest X-ray to move into dorm. Could I check my chest today, ma'am?" " ok" she said . And I paid 20000\ for testing and I moved to test.


to comprehensive hospital desk clerks.


 What the Fuck !



"uh... if you want to move into dorm, you should test another thangs like blood, weight, height, etc... btw which Univ. do you go?"


WHAT THE FUCK ! 


 

I said ! them to chest X-ray is only remain thang in a comprehensive medical testing to move. !

I tested my blood an another hospital shit !


"AH... are you, sir? I'd check it asap with clerks..."


"방금 말하고 왔다고 뭘 확인해 !!"

"Are you kidding me? I told them within seconds.. shit !"



so I cancelled my paid shit and go quickly to test chest X-ray.



What the motherfucking local hospital bitches !!!!!

Clerks said to me "I will help your pay sir, it's 30000\ for X-ray " 



what the heck was going on ? So I argued with them and paid 20000\ and outed really quick.


병원

Im really curious how to be hosptital desk clerks.. seriously.. what is required to be like them... How many paid workers doing only texting, calling and eating while 40 hours a week in the world?


나도 정말 하

If I have no choice to select my vision... I really want to be like them... They are absolutely offical workers... I know all kind of hospital workers aren't doing like it, but 


almost hospitals I underwent were shit.



Conclusion : Go hospital where well known about comprehensive medical testing to moving into dorm.


and find public health center. it costs only quarter of private hospitals.


Keep opinion what you want again and again if desks didn't understand. They are beast that can understand at 3rd time at least.


avoid local hospital... and find popular doctors on internet...

1. 창업 vs 취업

대학교를 다닌다면 대부분 위 두가지 중 하나를 생각해 봤을 것이다.

나는 요즘 많은 기사를 읽으면서 취업하기가 정말 어렵다는 것을 느꼈고 주위에 고학력자들(SKY 재학, 출신) 인문계열 지인들이 취업이 많이 어렵다고

하면 도대체 취업은 누가 하는 것인지 궁금하기도 했다. 그리고 지방대 공대 출신의 취업이 더욱 쉽다고 들었고 거의 사실이었다. 이젠 학력이 취업을 대신 해주는 시대는 지났다. 현재 early 50's and late 40's 나 졸업증명서만 있으면 취업이 되었던 시대다.

그래서 나는 어차피 비싼 등록금 내고 다니는 학교, 위 두가지 선택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 나는 당연히 창업이 옳다고 생각했다. 그 이유는 위 두가지 선택 중 어떠한 선택을 해도 쉽지 않은 선택이며 많은 노력을 쏟아야 한다.(시간, 체력적 측면) 그렇다면 리스크를 감수하더라도 본인이 처음부터 이루어내는 그림이 더 멋있고 향후에 본인에게 취업보다는 창업을 했을 때 경험적인 측면에서 본인에게 남는 것이 많다고 느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최근에 느꼈다. 취업준비생들이 느낀 것과 비슷할 수 있다.(필자는 취업준비생이 아니다.)

지루하거나 뻔한 이야기일 수 있지만, 어디를 가든 논란이 되고 있는 '금수저'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필자는 뉴스에서만 보던 금수저를 실제로 보고 큰 충격을 느꼈다.

취업 준비를 하는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어차피 이들의 게임 혹은 리그도 금수저가 지배하고 있다. 기업의 채용공고 정원의 30%이상은 정해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모두가 알고 있는 사립학교와 대기업 낙하산 외에도 심지어 요즘은 공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 중견기업도 인맥을 통해 입사한다고 한다. 아니 이런 식으로 인맥을 통해 입사한다. 취업이 이런데 창업은 뭐 조금이라도 다를까. 창업은 처음부터 끝까지 창업자 본인의 힘으로 해야할 것이 최소 8할은 넘기 때문에 사실 엄청난 아이디어라도 혼자서 처음 시작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래서 요즘 청년들은 facebook, instagram, navercafe 등 다양한 SNS 소셜미디어를 통해 동업자를 찾거나 교내 창업동아리에서 동업자를 찾는다. 여기에서 문제 아닌 문제가 있다. 이렇게 동업자를 찾는 일은 이미 본인의 가정이 넉넉, 여유롭지, 부유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부정할 수 없다.) 본인이 금수저라면 창업한다고 의지를 굳혔을 때 부모님이 자본을 마련해주거나 혹은 동업자를 찾아 줄 것이다. 따라서 창업이나 취업은 있는 자들의 게임이란 것이다. 그렇다면 흙수저 혹은 흙으로 수저를 만들 능력이 없는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가야 하나?? 솔직히 나도 어떻게 말해야 할 지 자신이 없다. 이런 대한민국 현주소의 현실을 도피하는 방법? 혹은 맞서는 대안?이 있을 것이다. 내가 알고 있는 방법으로는..


1. 노오력을 해서 이민을 가서 육체노동을 한다.


2. 금수저 친구들과 친해진다. (사실 이건 취업하기 만큼 어렵다. 대학생들은 이미 입학 전부터 금수저 크루, squad, team은 형성 되어있다. 입학 후에도 그들끼리 논다. 왜냐하면 흙수저 친구들이랑 친해져서 좋은 것 보다 그들끼리 득을 보면서 노는 게 나으니까..그리고 흙수저라고 해서 자존심이 없는 것도 아니다. 흙수저 친구들도 본인이 행복할 기회를 할애하면서 그 크루에 입단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도 어려울 것이다. 자존심이 상할수 도 있다.)


3. 자수성가 (정말 열심히 산다. 필자처럼 이런 블로그도 하면 안된다.)


4. 자본주의 사회에서 벗어나 본인만의 사회를 만든다. 


5. 여행가.


내가 이렇게 대안을 적어봤는데, 필자 스스로 봤을 때도 말이 안되는 것 같다. 이런 대안들도 무엇을 포기하고 돈이 조금이라도 있어야 할 수 있는 것들이다.

나는 모르겠다. 창업밖에 할 수 없다. 백없이 취업해봤자 노예다..

'그냥 Just becau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슬 탈 때 복도쪽 선호하는 여자들 특징  (0) 2017.10.15
shit local hospitals... go public or popular ..  (0) 2017.10.15
서울은 어떤 곳  (0) 2017.10.15
How to control one's mind  (0) 2017.10.15
학교 기숙사 생활  (0) 2017.10.15

서울에서도 살아보고 경기도에서도 살아보고 충남권에서도 살아보고 경남 경북권에서도 살아보고 해외에서도 살아보고...

모든 지역 특색이 있다는 점이 사실이다. 지역마다 특징이 있고 상상되는 그림이 있다. 

서울은 대한민국 국민들과 해외 여행객들이 성실히 하루를 살아가는 모습이 연상되고

경기도는 그 보다 덜 한 모습, 서울에서 출장을 오가는 ..

충남권은 산과 바다.. 밖에 없고.. 공단들이 많아서 많은 중소기업들이 자리하고 있다.

경남 경북권.. 경남은 광역시도 있고 공항, 항구도 있어서 많은 다양성이 있다.

그외 뭐 하여튼 다양하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서울에서의 삶이 항상 촉박하고 누군가에게 쫓기고 있는 듯한 삶을 사는 느낌이었다.

일자리를 찾기 위해서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이 지나는 지하철을 타고 버스를 타고 면접을 보았다.

그리고 일자리를 잃으면 또 다른 일자리를 찾기 위해서 계속 반복했다. 이렇게 학교를 다니면서 서울, 수도권에서의 알바 일자리도

구하기 힘들었다. 이뿐인가, 수험생 시절에 많은 친구들이 더 좋은, 더 수준 높은 사교육을 받기 위해 논현, 강남, 한티, 대치 등등

유명한 입시학원에 다니기 위해 방과후 교복을 입은 채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이동했다. 이런 것을 보고 서울에서 살기 보다는 

해외에서 여유롭게 살고 싶다는 생각도 해보았었다.


그 이후로 나는 충남권에서 , 경남 경북권에서 생활했다. 

삶은 여유로웠다. 왜냐하면 일자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곳에는 수요와 공급이 존재하지 않은 곳이었다.

서울에서 100km 거리인 천안권만 가도 일자리 괜찮은(?)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다. 대부분 500명 미만의 중소기업이고 취업규칙을

절대 안 지킨다. 경남 경북권은 더 하다. 막상 이렇게 내려와서 지내보니 서울에서의 삶이 촉박한 이유는 본인의 문제라고 느꼈다.

서울은 국내에서 일자리가 많이 모인 곳이고  인구가 제일 많은 곳이기 때문에 당연히 빠르게 진행되고 촉박하게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지방에서는 막노동 일자리를 구하려고 해도 구할 수가 없었다. 서울에서의 삶이 편하고 촉박하다면 지방은 그냥 일자리가 없기에

여유롭고 공기가 좋다. 하지만 그러면 뭐하나... 일자리가 없으니 생계가 어려워 수요가 많은 서울에 와서 일을 해야 할텐데.


서울 : 일자리가 많고, 사람이 많기에 불평도 많고, 모든 것이 많다. 모든 것이 많을 수 밖에 없다.

지방 : 일자리가 없다. 심지어 알바, 막노동 일자리도 없다. 혹은 적다

'그냥 Just becau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it local hospitals... go public or popular ..  (0) 2017.10.15
2016.01.23 SAT 느낀 점 impressions  (0) 2017.10.15
How to control one's mind  (0) 2017.10.15
학교 기숙사 생활  (0) 2017.10.15
그는 누구인가  (0) 2017.10.15

2016 06 10 FRI

나는 나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잘못된 행동을 하고 많은 반성을 했지만 한번 잘못하고 엎질러진 물을 마음에 크게 담아두지 않았다. 즉 마인드 컨트롤을 어느 정도 했다. 나의 잘못으로 인해 내가 지불해야할 벌금이 50만원이라면 나는 그냥 50만원 내기로 했다. 벌금을 내면서도 배우는 점이 있을 것이다. 너무 긍정적인가? 그렇다고 계속해서 화를 내고 자기를 통제하지 못하면 곧 다가올 날들도 잘 풀리지 않을 것이고 마음만 불안정해질 것 같다는 나의 판단이었다.  대신 마음에 담아 두지로 않기로 했다. 군대 가면 좋은 점들도 있네. 세상과 단절 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이 좋은 면도 있고 안 좋은 면도 있다. 참 세상은 이중저깅고 모순적인 것 같다. 이런 세상에서 살아남으려면, 살아가려면 어떠한 정신과 마음을 지녀야 하는지 알아내는 것이 숙제다. 인생을 사는데 정말 많은 방법이 있지만 남에게 피해를 안 주고, 안 좋은 시선을 주지 않고, 정말 나 답게 사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물론 모든 주변인들에게 만족시킬 필요는 없지만 아니 좋은 시선을 사게 된다면 그것 만큼 안좋은 것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게 악평을 듣고 살아도 자기만의 절대 흔들리지 않을 줏대가 있다면 상관이 없다고도 생각한다. 이런 말이 기억에 남는다. 알아서 잘 크면 잘 몰랐던 유치원 친구부터 너에게 먼저 연락할 것이라고.(즉 누가 놀리고 뭐라 하는 것에 신경도 안쓰고 자기 할일을 하면 언젠가 본인의 날이 올 것이다. 하지만 누군가 나를 싫어하고 미워한다고 해서 본인도 그들도 미워하고 그러면 마인드 컨트롤에 지장이 되고 오히려 화를 더 살 수도 있으니 조심해 하는 편이 나은 것 같다.) 세상이 변함에 따라 가치가 변하지 않는 것들을 끝까지 가지고 간다면 최소한 중간 쯤은 갈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전에 세상이 변함에 따라 가치가 변하지 않고 계속해서 가치가 유지되는 것들을 찾는 것이 먼저일테다.

'그냥 Just becau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01.23 SAT 느낀 점 impressions  (0) 2017.10.15
서울은 어떤 곳  (0) 2017.10.15
학교 기숙사 생활  (0) 2017.10.15
그는 누구인가  (0) 2017.10.15
길가에서 들은 여자의 연애 이야기  (0) 2017.10.15

필자는 기숙사 생활을 줄곧 해왔다. 약 1년 정도 짧은 기간이지만 적지 않은 것을 배웠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살아왔던 기숙사는 항상 4인 1실 이었다. 4인 1실이면 나쁘지 않다고 많이들 생각한다. 왜냐하면 초중고 생활관은 8인 1실인 곳도 많기 때문이다. 

문제는 기숙사 생활을 시작할 때 많이들 긴장하고 잘할 수 있을까 하며 걱정하기도 한다. 물론 나도 그랬다. 기숙사 생활 과연 잘할 수 있을까.

나는 생활관에 살면 많은 친구들을 만날 수 있다는 생각에 많이 기대하고 좋아했다. 그리고 예상과 기대대로 많은 친구들을 사귈 수 있었다. 

좋은 친구들을 많이 사귄 것은 굉장히 좋았지만, 생활관에 거주하면서 나 자신 개인만의 시간과 여가 생활이 많이 제약 받고 나 뿐만 아니라 나를 제외한 3명의 룸메이트들의 신경도 맞춰줘야 했기 때문에 쉽지 않았다.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이고, 이것 또한 예상했었어야 한다. 

이렇게 생활관 안에서 살아가면서 맞춰가는 과정과 많은 사람들과 친해지는 과정이 좋다고 하는 사람들도 많다.

필자 또한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친해지는 과정이 당연히 좋지만, 친구들을 많이 사귀는 것 보다는 마음에 맞는 친구들, 오래 만날 친구들 (잠깐 한 학기 만나고 안 볼 친구들이 아니고..)을 만나는 것을 선호하며, 생활관에 거주하면서 룸메이트들과 기준점을 맞춰야하는 것이 당연한데 세상에 모든 사람들은 이기적이기 때문에 본인의 것을 먼저하려고 하고 상대방이 싫어도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즉, 생활관에 살면 아주 작은 말다툼이나 소란은 있기 마련이다. 꼭 같은 방 사람이 아니더라도, 옆방, 같은 층, 윗층 등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가 싫으면 혼자 집을 구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혼자 살게 되면 비용이 만만치 않아짐. 

'그냥 Just becau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은 어떤 곳  (0) 2017.10.15
How to control one's mind  (0) 2017.10.15
그는 누구인가  (0) 2017.10.15
길가에서 들은 여자의 연애 이야기  (0) 2017.10.15
대통령님 부탁 하나만 들어주이소  (0) 2017.10.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