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호사 200만원]

월급 200만원 변호사


요즘에는 변호사들이 너무 많다. 경쟁에서 떠나 스스로 자신의 가격을 낮추면서까지 의뢰를 받으려고 애쓴다. 이유는 매년 새로운 변호사들이 1,500명 배출된다. 하지만 매년 은퇴하는 변호사는 1,500명이 미치지 못한다. 바로 변호사들끼리 치킨게임을 할 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일반적인 가정에서 단순히 돈 벌려고 변호사를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유는 학부 4년, 대학원 2년, 시험준비 최소 1년, 사법연수원 2년, 국선변호사 1년을 하면 개인 신분으로 변호사를 하기에는 최소 30살이다. 30살에 개인변호사로서 첫 월급을 받아볼 수 있다. 물론 여유있는 가정이라면 문제가 될 것이 없겠지만, 일반적인 가정에서는 대학교 4년, 로스쿨 2년, 시험준비 1년만 해도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아무 소득 없이 시험준비만 해도 합격하기 어려운 시험인데, 당장 하루를 살고 내일을 사는 가정에서는 어려울 수 있다는 의미이다.

단순히 돈을 많이 벌고, 멋져 보이는 것이 변호사가 되고 싶은 이유라면 말리고 싶다. 하지만 정말 정의롭고, 정직한 사회를 위해 변호사가 되고 싶다는 것이라면 사회를 위해, 나라를 위해, 더 나은 세상을 위해 변호사가 되고 싶다는 것이면 오히려 장려하고 싶다. 세상에 정의롭고 깨어있는 변호사들이 많이 필요하다.

---------------------------------------

로스쿨 변호사 연봉 !


로스쿨 변호사 연봉을 알아보자.

사법고시 출신 변호사와 로스쿨 변호사시험 출신 변호사 연봉 차이는 얼마나 날까?

우선 필자는 현직 종사자가 아니고, 가까운 사법고시 출신 변호사 현직 종사자에게 들은 이야기를 중심으로 정보를 적어나가 보겠다.


변호사 연봉!

변호사가 연봉 수령하는 방법은 두 가지로 나뉜다.

첫번째는 자영업 변호사이다. 즉, 자신이 사건을 맡은 만큼 받은 수수료가 곧 월급이 되는 경우이다. 고시에 합격하고 사법연수원에서 교육을 받고, 국선 변호사를 거쳐서 바로 자영업 변호사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부분 월급쟁이 변호사를 거치고 나서 실력과 명성이 쌓일 때 쯤 스스로 개업해서 개업 변호사에 도전하지만, 요즘은 쉽지 않다고 한다.(이미 널리고 널린 변호사들이 많아서, 변호사들이 회계사, 부동산 쪽으로 내려오는 상황이며, 심지어 7급 공무원 혹은 군법무관으로 평생 공무원으로 활동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이런 분야에서도 경쟁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예전 10년 전 하더라도, 1순위(일순위)는 판사, 검사가 되는 것이고, 차선으로는 대부분 대기업 법무팀 혹은 대형 로펌에 취직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하지만 요즘은 대형 로펌에서부터 1인 법률상담소, 부동산 등기 사무소, 회계사무소 까지 다양해졌다.)

즉, 첫번째로 개업 변호사, 프리랜서 변호사, 자영업 변호사는 자신의 실력에 맞게, 자신이 하는 만큼, 자신이 맡은 사건의 크기만큼 수수료를 받게 되고 그것이 곧 자신의 월급이다. 즉 월급이 고정되지 않는다. 만약 재판에서 이길 경우에는 사건액의 10% 혹은 변호사 선임 비용의 50%를 가산하는 계약도 있다. 만약 재판에서 패배할 경우에는 변호사 선임 비용에서 10% 감산하는 계약 경우도 있다.

 실력 있고 유능한 개업 변호사가 같은 경우에는 어느 한 분야(예를 들어, 이혼 분야 전문 변호사, 부동산 전문, 수출입 전문, 통관 전문, 노동법 전문, 형법 전문 변호사 등등)에서 이름을 알린다. 그리고 그 분야에 대해서 큰 사건(사건액이 큰 사건)부터 차례대로 받고, 수수료로 의식주를 해결한다.

 하지만 실력 없고, 비교적 나이가 많은(약 52세 이상 부터) 변호사들은 사건을 가리지 않고 받게 된다. 그러므로 사건액이 적은 사건도 많다. 그래도 아무리 못한 개업 변호사도 아직까지는 월 300만원까지는 받는 추세라고 한다.(부동산 등기, 회계사라도 해서) / : 결론은 개업 변호사는 자신의 실력과 운이 자신의 연봉에 크게 좌우한다.


[개업 변호사 장단점]

[장점] : 자신이 맡은 사건 수수료는 모두 자신의 것으로 돌아온다.

[단점] : 개인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므로 신경써야 할 것들이 많다. / 소득이 불안정하다. / 사건이 많이 안 들어오면 어려워진다. / 망했다고 다시 로펌에 입사하기 쉽지 않다. 이유는 젊고 실력 있는 젊은 변호사들이 차고 넘치기 때문 

그래서 요즘 추세는 아무리 잘 나가는 변호사라고 하더라도 비교적 어린 나이 때는 개업을 잘 하지 않는다고 한다. 국선 변호사를 마치고부터 퇴직할 때까지 중소로펌에서 변호사로만 활동하고 퇴직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월급 변호사]

월급 변호사는 로펌에서 일하는 대표가 아닌 변호사를 말한다. 일반 사기업 회사랑 비교하자면 '직원'이다. 직원 중 상무, 이사, 부장, 팀장, 과장, 대리, 주임, 사원이 있듯이 변호사 로펌에서도 직급이 존재한다. 수석 변호사, 파트너 변호사, 전임 변호사(?)...등등. 변호사들은 대부분 국선 변호사를 하면서 자신의 분야를 정한다고 하지만, 로펌에서 사원급 변호사는 특정 전공 분야 없이 맡은 잡무는 다 한다고 한다. 과장급 변호사 정도 되면 자신의 전공 분야가 정해지고, 특정 분야 사건에 대해서 전문적으로 사건을 받고 수수료가 높아진다고 한다.

 월급 변호사의 월급도 당연히 로펌의 형태, 크기, 초봉에 따라 모두 다르다. 최근 SBS 뉴스에서 나온 초임 변호사의 평균 월급은 250만원~500만원 선이라고 했다.(2018년 초 기준) 월급 변호사가 월급을 받는 형태는 한 가지이다. 택시 기사를 생각하면 쉽다.

 모든 로펌이 이런 형식은 아닐테지만, 대부분이 이런식으로 운영된다고 한다. 로펌에서 지정한 사원급 변호사가 넘겨야 일정액이 있으면, 변호사는 변호사 선임 수수료로 일정액을 넘기고 나서야, 변호사는 기본급으로 그 일정액을 받을 수 있고, 사건 재판에서 이길 경우 보너스는 회사와 7(회사):3(변호사) 이런식으로 배분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로펌에서 신입 변호사에게 기본급으로 월 200만원을 주겠다고 약속한다면, 변호사는 한 달이내에 변호사 선임 수수료를 200만원 넘길 수 있을 만큼 일해야 한다. 그리고 만약 200만원을 넘기면 변호사는 월급으로 200만원을 받고, 못 넘길 경우 자신이 한 금액 보다 더 적은 금액을 받게 된다. 재판에서 이겼을 때 의뢰인한테 받은 보너스는 회사와 변호사가 대략 7(회사):3(변호사)~6(회사):4(변호사)로 배분하게 된다. 월급 변호사가 급여를 받는 방식이 법인택시 기사가 월급 받는 방식과 유사하다. 월급쟁이 변호사가 급여 받는 것이 어렵다고 보여도, 아직 까지 초임 변호사가 중소로펌에서도 월 250만원 기본급이 기본이고, 재판에서 이길 경우 자신이 잘한 만큼 받게 되니 아직 까지 도전해볼 만한 직업이다!


[로스쿨 고민하는 분들에게]

첫째, 자신이 법조인 되고 싶은 이유와 목표를 분명하게 설정하기. 언제라도 목표를 생각하면 동기부여가 될 수 있을 정도로 명확하게 설정한다면 시련과 슬럼프가 와도 계속해서 공부할 수 있는 의지가 생길 것이다.

둘째, 아직까지 도전해볼만하다! 초임 월급쟁이 변호사의 평균 월급이 (보너스를 포함하면) 300만원이 최저 수준이었다.(국선 변호사, NGO 변호사 제외)

셋째, 변호사시험 합격률이 과거 사법고시 합격률 보다 높은 것을 생각하면 과거 보다 괜찮다!

넷째, 변호사가 된다면 실력 있는 변호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추천한다고 사법고시 출신 변호사가 전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로스쿨 입학도 어렵고, 학비도 비싸지만 국립대 로스쿨은 평균 이상 성적만 되면 장학금이 나오고, 한국장학재단 장학금이 있기 때문에 엄청 어려운 정도도 아니라고 합니다. (사법고시 출신이어서 그런지는 몰라도) 아직 까지도 로스쿨 졸업하는 고령 신입 법조인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체감으로는 변호사시험 제도가 도입되고 나서 부터 고령 신입 법조인이 더 많아진 것 같다고 하네요.


P.S 사법고시 출신 변호사 지인님이 이화여자대학교 로스쿨의 입학조건이 반드시 '여자'여야 한다는 것은 위헌이라고 생각하는데, 대법원에서는 합헌 판결이 났다고 합니다. 판결 이유는 로스쿨에 입학생의 성별을 제한하는 것이 변호사시험 자체 응시생의 성별을 제한하는 것과는 다르므로, 남자라고 해서 다른 로스쿨 입학이 불가한 것도 아니고, 남자라고 법조인이 되는 것이 불가한 것이 아니므로 성평등 조항의 위배되지 않는다는 판결이라고 하네요.

출처: http://hamena95.egloos.com/7254628


인터넷에선 사병월급이 너무 적다는 주장이 대세다.

그래서 대폭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최저임금 수준으로 줘야 한다는 입장도 다수다. 다른 나라는 더 많이 준다는 주장과 함께. 
나도 20만원이 조금 안되는 수준의 사병월급은 너무 낮다고 생각한다.아무리 의무라 처우가 낮다지만 최저임금의 1/6 수준은 너무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물론 의무이기 때문에 최저임금 밑으로 줘도 된다는 헌재 판결도 있지만, 그거랑 지금의 사병월급 수준이 적당하냐는 별개의 문제이다. 지금 월급은 단순히 최저임금보다 못 받는 정도가 아니니.

그렇다면 여기서 물어보자.한국의 사병월급은 과연 타 국가에 비해 낮은 수준인가?그리고 타 국가와 비교하자면 어느 정도까지 올려야 하는가?

일단 이 질문에 답하기 전에 타국의 사병월급은 얼마나 되며, 국가의 경제수준(1인당 GDP)에 비해 어떤 편인지 알아보려 한다. 동등한 비교를 위해 징병제 국가끼리만 비교하도록 한다. 모병제 국가는 자발적으로 오게 하니 처우가 좋을 수밖에 없으니까.
사실 밑의 두 링크가 잘 정리해두긴 했다. 밑의 자료만 봐도 대충 감은 잡힌다.그러나 밑의 자료는 몇년 전 자료고, 비교 대상의 나라가 적었다. 그래서 본인이 최신 자료로 한번 다시 조사해보려 한다.http://nesis99.tistory.com/30http://dunkbear.egloos.com/2944314

+ 1인당 GDP는 명목환율(nominal) 기준으로 쓰도록 하겠다.사병월급을 비교하기 위해 달러로 환산하는 과정엔 명목 환율을 쓰므로, 거기에 맞출 것이기 때문이다.또 여러 국제기구가 수치를 내나 임의로 IMF 자료를 기준으로 한다.참고로 1인당 GDP 수치는 기본적으로 다음 링크들에서 가져온다.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_per_capitahttp://stats.oecd.org/
+ 환율은 사병월급이 적용되는 (확인되는 가장 최근) 해의 7월 1일을 기준으로 하겠다.당시 환율은 http://www.x-rates.com/ 사이트를 참조하였다.


1. 한국
한국은 타국이 아니지만 타국과의 비교를 위해 올린다.1인당 GDP는 2015년까지만 나와있기에 사병월급도 그에 맞춰 2015년 수치로 올린다.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700일단 위 정부 공식통계에 따르면 2015년 사병월급은
이병 129,400원일병 140,000원상병 154,800원병장 171,400원
이다. 계급에 따라 월 129,400~171,400원. 
2015년 1인당 GDP는 27,195$



2. (과거) 독일
독일은 2010년에 징병제를 폐지하였으나, 2010년 사병월급의 자료가 나와 있어 올린다.http://dunkbear.egloos.com/2944314를 참고하면
일 9.41유로~10.95유로라 한다. 이것도 계급별로 나누어진다.위 링크에 따르면 독일군 사병월급은 일하는 날에 비례해 지급되므로, 주 5일, 월 20일로 계산하면월 188.2~219유로월 288,000~335,200원.단 보너스가 많고 복지혜택이 잘되어있어 실제론 더 받는 편이라 한다.
2010년 1인당 GDP는 42,563$



3. 핀란드
http://puolustusvoimat.fi/documents/1948673/2258487/MAAVE_Varusmiesopas_2016_EN/1c0dc0d4-4a8a-41cc-b020-5150ed88171e
아마 핀란드 병무청에서 제작한 병역 팜플렛인 듯 하다.위 자료의 31페이지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복무 기간에 따라 하루에 5.10유로~ 11.90유로를 받는다고 한다.  독일과 같은 근무일 기준 일당제이므로, 월로 환산하면월 102~238유로. 월 127,100원~296,700원.
독일처럼 보너스가 많고 복지 혜택이 잘 되어 실제론 더 받을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위 링크 28~37페이지 참고.)
2015년 1인당 GDP는 41,794$



4. 대만
대만은 현재 징병제에서 모병제로 전환중이지만, 병사 모집이 쉽지 않아 차질을 빚고 있다고 한다.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60817010008624하지만 적어도 최근까진 징병제의 면모를 띠고 있어, 비교가 가능하다.
도저히 '징집 군인 월급에 대한 외국 기사를 찾을 수 없었다. 대만의 사병월급에 대한 정보는 '모병 군인(voluntary soldier)'에 대한 정보뿐이었다. 그래서 위에도 올려둔 http://nesis99.tistory.com/30을 참조했다.
위 링크에 따르면 대만의 사병월급은 2013년 기준 월 5,890위안, 즉 월 221,700원이다.  
2013년 1인당 GDP는 https://knoema.com/atlas/Taiwan-Province-of-China/GDP-per-capita에 따르면 21,888$


5. 이스라엘
http://www.timesofisrael.com/increase-to-idf-soldiers-salaries-goes-into-effect/
2015년 기준으로 사병월급을 올린다는 기사이다. 이 기사에 따르면전투병은 월 1067셰켈, 전투 보조병은 월 784셰켈, 비전투병은 월 540셰켈을 받는다.
흥미롭게 보직별로 월급이 다르다. 보직에 따라 160,500원~317,000원을 받는 셈이다.
2015년 1인당 GDP는 35,343$
http://www.haaretz.com/israel-news/.premium-1.690315참고로 2016년 1인당 GDP가 나와있지 않아 이 수치를 적용하진 않았지만,위 기사에 따르면 2016년엔 저 수치에 50%를 인상한다고 한다. 


6. 싱가포르
http://www.channelnewsasia.com/news/singapore/natiohnal-service/2305360.html
2015년 11월에 사병월급을 올린다는 기사이다. 이 기사에 따르면훈련병(Trainee), 이병(Private)은 560 싱가포르 달러, 일병(Lance-Corporal)은 580 싱가포르 달러, 상병(Corporal)은 630 싱가포르 달러, 병장(Corporal First Class)은 670 싱가포르 달러라 한다. 
군 용어엔 익숙하지 않아 네이버 사전을 번역했다.여기 표엔 중위(Lietuenant)까지 나와 있지만, 설마 의무복무를 중위까지 할 리가 없으므로 병장까지만 표시한다.
계급에 따라 465,900원~557,400원을 받는 셈이다.
2015년 1인당 GDP는 52,888$


7. 러시아 
https://russiamil.wordpress.com/2012/01/06/new-pay-structure-for-conscripts-announced/
2012년에 사병월급을 무려 2배(!!)로 올린다는 기사다. 기사 내용대로라면보직에 따라 1,000~ 1,800루블을 받는다.여기에 위험지역, 위험업무 여부 등에 따라 보너스가 붙는다.
당시 한국돈으로 바꾸면 35,300원~63,600원(...) 러시아가 한국보다 경제수준이 낮고 물가도 싸다지만 좀 심한 것 같다.뭐 10여년 전 한국도 이랬다지만...

2012년 1인당 GDP는 14,082$


8. 태국
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4/08/15/0505000000AKR20140815050100043.HTML
도저히 외국 기사를 찾을 수 없어 2014년에 쓰인 한국어 기사를 참조했다.월 9,000루블, 우리돈으로 288,000원이라고 한다. 
2014년 1인당 GDP는 5,970$(http://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PCAP.CD?end=2014&start=1960&year_high_desc=true 참고)



9. 이집트
황당하게도, 자료끼리 충돌하고 상반되는 이야기를 한다. 뭐가 진실인지 알 수 없다.
http://www.starseoultv.com/news/articleView.html?idxno=257734
위 링크에 따르면 이집트 사병들은 대우가 좋다. 그래서 최저임금대로, 즉 2014년 기준 월 171,000원을 받는데
http://www.al-monitor.com/pulse/originals/2015/07/egypt-military-conscription-sinai-attacks.html
위 기사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월 35달러 즉 월 4만원 될까말까할 수준으로 받는다고 한다.또 이 영문 링크에선 사병의 대우와 훈련수준이 형편없으며, 이로 인해 많은 청년들이 병역기피를 시도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도대체 무엇이 진실인가?정보가 확실치 않으므로, 조사대상에서 이집트는 빼기로 한다.



이 외에도 베트남, 몽골, 우크라이나, 콜롬비아 등이 징병제를 실시하고 있으나자료가 부족하거나, 한국과 비교하기엔 지나치게 생활수준이 낮아 뺐다. 
=========================================================================================

지금까지 모은 정보를 액셀로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사병월급의 절대적 액수를 비교할 수도 있겠지만, 국가별로 물가 수준이나 경제 수준차가 크다. 같은 1달러라고 해도 국가별로 사먹을 수 있는 것들이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사병월급을 1인당 GDP로 나눌 것이다.그렇게 해서 1인당 GDP대비 사병월급을 계산하고,이를 국가별로 비교해 볼 생각이다. 
태국과 대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사병월급의 상/하한이 따로 있기에, 상/하한을 1인당 GDP로 각각 나눠 총 두 번 계산하도록 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인당 GDP대비 사병월급]]
한국(기준) : 1배(하한), 1배(상한)
독일 : 1.30배, 1.14배
핀란드 : 0.64배, 1.13배
대만 : 2.11배, 1.59배 (상,하한이 따로 없음)
이스라엘 : 0.95배, 1.42배
싱가포르 : 1.85배, 1.67배
러시아 : 0.52배, 0.70배
태국 : 11.00배, 8.30배 (상, 하한이 따로 없음) [....]

===========================================================================
이제 다 조사했으니 결론을 내보자.

예상대로, 한국의 1인당GDP대비 사병월급은 타국대비 낮은 편이다.러시아를 제외하고 모두 한국 이상을 받는다.그런데 러시아의 생활수준과 독재정치를 감안하면, 사실상 한국이 꼴찌인 셈이다. 사병월급 인상은 반드시 필요하다. 단순히 절대적인 액수 뿐 아니라 상대적인 액수가 적으니까.

단, 사병월급은 몇 배로 인상한다던가 최저임금 수준으로 올리는 건 곤란하다.적어도 타국과 상대적으로 비교하자면.
외국이라고 해서 1인당GDP대비 사병월급을 그렇게 많이 받지는 않는다. 왠만해선 한국의 2배를 넘지 않는다. 한국의 8배에서 11배(...)를 자랑하는 태국 정도가 예외다. 
따라서 외국에선 징병제를 진행해도 사병월급을 최저임금 수준으로 준다는 이야기는 틀린 이야기이다. 까놓고 말해서, 한국의 사병월급이 최저임금의 1/6에 불과한데,외국도 태국을 제외하곤 한국의 2배 이상을 받지는 않는다. (1인당GDP대비 기준으론)최저임금에 도달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액수이다. 국가별 다른 최저임금을 감안하더라도 말이다.

따라서 한국의 사병월급은, 20~50% 정도 인상하면 외국과 비슷하게 받는다는 결론이 나온다.물론 필요하거나 여력이 있으면 더 주는게 좋지만, 일단 타국과 비교하자면 그러하다.

군인이란 직업

 만약 성인이 되기 전 혹은 징집되기 전 부터 군인이 되고 싶다는 생각이 있다면  직업 군인이 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1. 부사관
 - 지원 자격 : 고등학교 졸업 이상
 - 시작 계급 : 부사관 후보생 ; 하사
 - 교육기간 : 평균 4 개월
 - 급       여 : 임관 후 첫 월급 : 114만원


 2. 장교
 - 지원자격 : 고등학교 졸업 이상
 - 시작 계급 : 준위 혹은 소위
 - 교육기간 : 평균 4개월
 - 급       여 : 임관 후 첫 월급 : 약 120만원



 1.1 부사관이 되는 방법

 - RNTC 전문대학교에 입학 후 RNTC 등록 이후 졸업과 동시에 임관한다.
 
 - 고등학교 졸업 이후 혹은 3학년 재학 중 부사관시험을 치르고 합격한다.


 2.2 장교가 되는 방법

 - 사관학교에 입학 이후 졸업한다.(육군사관학교, 3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
 - 육군, 해군, 공군 모집 홈페이지에 장교모집 부분에 지원하여 합격한다.
 - ROTC 대학교 입학 이후 ROTC 지원하고 합격하여 임관한다.
 - 부사관으로 이미 임관한 자는 간부사관, 혹은 준위 시험을 치르고 합격한다.


 나는 병사로서 군생활을 짧게 했지만, 만약 군인으로서 적성에 맞는 분야가 있다면 군인이란 옷 입기를 추천하는 바이다.
 군인이라고 하면 다들 의미 없고 몸만 힘든 직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일부만 그렇지 100%가 그런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 공군 조종 장교는 미래에 항공사 조종사로 취직하기에 유리하고, 공군 전투기 정비병•정비부사관도 향후 항공기 정비파트에 취직하기 수월해진다. 더 나아가 항공모함 조종사, 헬기조종장교, 관제탑 상황병 등등 찾아보면 다양하다. (i.e 공군 비보이병, 프로게이머병, 군악대, 의장대, 행정병, 장군운전병, 4/5 톤 운전병, P.X병, 지게차 조종병, 롤러•굴삭기 조종병, 의무병 etc...)
 다만 소총수, 장갑차조종수, 탄약수, 포수, 개인화기정비병, 수류탄 정비병, 군수병 등등 아무리 열심히 해봤자 미래에 도움 안되는 보직들 또한 매우 많다. 소총수 20년 해봐야 사회에서 소총수 열심히했다고 가산점 0.1점 이라도 더 주지 않는다. 이게 현실이다. 
 그래서 필자가 추천하는 바는 만약 본인이 정말로 군인이 하고 싶다면 더 넓게 생각하는 폭을 가지고 지원했으면 하는 것이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nformation 정보 > Milit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임말 싫어하는 부사관 썰  (0) 2017.10.16
대한민국 군대  (0) 2017.10.16
대대장이 군인이 되고 싶었던 계기  (0) 2017.10.16
대대 의무병 썰  (0) 2017.10.16
군대에서 기억남는 사람들  (0) 2017.10.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