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발음이 문제가 되지 않는 이유


전세계 인구 약 75억 인구 중 영어로 대화가 가능한 인구는 약 15억 정도이다. 그중 미국 인구 약 2.3억, 캐나다 인구 약 2~3천 만명, 뉴질랜드, 호주 인구가 약 3~4천 만명.


국어가 영어인 나라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인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브루나이, 라오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냐 등등 나라는 국어가 두 개 이상인 나라이다. 이 곳에서 자라는 사람들은 대부분이 영어에 능통함과 동시에 다른 국어에도 능통하여 90% 이상이 2개국어가 가능하다고 한다. 하지만 인도 영어, 말레이시아 영어를 들어본 사람이면 알겠지만 이들의 영어는 우리가 알고 있는 미국식 영어, 영국식 영어가 아니다. 우리가 어릴 적 부터 들었던 영어와는 발음도 많이 다르고, 같은 영어여도 문법 구조는 같아도 나라마다 표현이 조금씩 다르다. 미국영어가 호주영어, 영국영어와 다르듯이 영어를 국어로 지정한 나라마다 특정한 표현이 존재한다. 그리고 발음도 국가마다, 심지어 그 국가 안에 지역마다 다르다. 경상도 사람들이 전라도 사투리를 못 알아 듣고, 서울 사람들이 전라도 사투리, 경상도 사투리를 못 알아 듣는 것 처럼 말이다. 영어를 할 줄 아는 인구가 약 15억 인데, 인도 인구가 10억이다. 즉 영어를 할 줄 아는 사람들 중 대다수가 심한 억양을 가지고 있고 표현이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초등학교 때 부터 , 혹 빠르게는 유치원 때 부터 미국식 영어를 영상과 책으로 접하기 때문에 미국식 영어가 정답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미국식 발음만이 정답이 아니다. 그리고 미국식 발음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미국에는 전세계 인종이 함께 살며 미국 시민권을 가진 이민자 중에서도 영어를 못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들 조차 말하는 방식, 표현, 발음이 각기 달라 같은 미국인이어도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한국인들은 대부분 영어를 못한다는 것에 대해 부끄럽게 생각하고, 길에서 누군가 영어로 길을 물으면 영어로 대답하려고 노력한다. 영어는 한국인에게 '외국어'라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누가 그 나라에 가보지 않고 외국어를 쉽게 배울 수 있는가? 심지어 한국어와 영어는 문법 구조에서부터 외래어를 제외하면 단어 하나하나가 모두 다르다.


언어는 서로 소통하는 것에 중점이 있다. 단어를 알고 문법구조만 안다면 엉터리 영어로 발음이 좋지 않아도 서로 알아들을 수 있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이 항상 완벽한 문법구조와 완벽한 발음으로 한국어를 구사하는가? 아니다. 그래도 TV에 나오는, 방송에 나오는 외국인들의 한국어를 알아들을 수 있다. 영어를 못하는 것에 대해 기 죽을 필요도 없고, 발음은 더더욱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영어 공부를 할 때는 어휘와 단어를 위주로 공부하는 것이 발음을 가꾸는 것 보다 더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다.

교육 봉사 후기 2


학원 강사로 일해본 것은 아니지만, 교육 봉사가 나의 예상 보다는 더 어려웠다.

대부분 수도권에 있는 이름 있는 학원이면, 대부분 학생들이 부모로부터 끌려서 왔든가, 아니면 자기가 잘 하고 싶은 마음에 오는 경우가 대다수일 것이다.(물론 절대 가기 싫지만, 부모가 강제로 보내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그들의 의지이든, 부모의 의지이든 그들은 나름 평균 이상으로 열심히 한다.

필자가 교수, 교사, 일타강사는 절대 아니지만, 청소년들의 학업에 도움을 주고 있는 사람으로서 느낀 점은 할 생각 없는 애들은 안 하는 게 맞다. 하기 싫어하는 애들을 열심히 시켜보려고 노력해봐야, 설득하려는 사람이나, 설득 당하기 싫은 사람이나 좋지 않은 마음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공부를 하고 싶어 하지 않는 애들한테 무리하게, 강요하면서 일부러 공부시킬 필요가 없다는 점을 깨달았다. 하지만 특히나 한국에서는 하기 싫은 애들도 학원에 가고, 보습학원에 가는 일은 너무 흔한 일이기 때문에 부모들이 바뀌는 것이 우선인 것 같다.

하기 싫어하는 애들한테 억지로 시키지마 !

학원 강사로 있으면서 느낀 점 1

한국에서 경제력이 꽤나 높은 동네, 매우 영세한 농촌 두 지역에서 나름 메이저 학원에서 학원강사로 일 해봤음.

두 군데의 학생들 표본도 전교 1등~ 거의 꼴찌까지 다 가르쳐봤는데

먼저 수준이 있는 동네는 학부모들이 아이들 교육에 관심이 매우 높고, 높은 학원비를 지북할 용의가 있음.(willingness to pay가 높다) 학원 사이의 경쟁도 치열한 편이라, 선생님들 학벌도 높은 편임. 나도 수능 1등급대지만 나보다 낮은 사람은 별로 본 적이 없음.
내가 자녀가있다면 보내도 돈이 아깝지 않을 정도의 학원들이고, 교과목도 매우 체계적임. 
애들이 성적 오르는게 눈에 보이고, 보통 수준의 아이들도 최소 1개학년 정도는 수준이 위에 있음.

학부모들 수준도 높은 편이고, 나름 지방에서 고소득자들임. 가르쳐보면 애들 교양 수준이 차이가 많이 남. 대화를 해보면 말이 통하고 교육 제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빠삭한 학부모들도 꽤나 있음.

반면 농촌 학원은 그 흔한 프랜차이즈도 없고 학부모들이 공부에 관심이 없음.
공부 못하는 학생들 학부모가 꼭 클레임이 많은데 내용도 가관임.
학생들 공부 너무 많이 시킨다 (실제로는 배우는 내용이 비교학군의 20프로도 안됨)
학생 기를 죽인다
애가 욕을 할 수도 있지 왜 혼을 내느냐. 혹은 우리 애는 그런 애가 아니다.

이런 얘기를 꼭 원장한테 가서 함. 내 얘기가 아니라 다른 선생님들이 이런 클레임으로 애를 먹고, 선생님들도 수준이 떨어지는 학생들을 가르치니 긴장감도 없음. 스스로 자기계발이 전혀 안되는 점에 스트레스를 받고, 나중에 그쪽 학원이 망해도 이직하기 힘들것으로 생각함. 즉 미래가 없음.

공부못하는 학생들 자체도 불만이 많음. 스스로의 수준이 높다고 생각함. 놀러다니는 애들이 태반이고 학원은 코흘리개들 비위 맞춰주면서 원비나 받아먹어도 어차피 비슷한 수준의 아이들끼리 경쟁하니 등수는 잘 나옴. 실제로는 고등학교 모의고사에 1등급은 커녕 3등급이라도 나오면 다행인 친구들임.

맹모삼천지교라고 맹자의 어머니는 3번이나 집을 옮겼다고 하는데, 학군에 따라 집값도 크게 좌우되는게 너무 당연하다는게 5년간 사교육에 몸담으면서 배운 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