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연구요원 폐지 확실

전문연구요원 , 산업기능요원 폐지가 유력하다. 학령인구는 감소하고 있고 그에 따른 군인 인원도 감소하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산업기능요원과 전문연구요원 제도를 폐지하고 그 인구를 군인 병력으로 충원하려고 하고 있다.

사실 송유근 영재/천재 도 전문연구요원이 될 수 있었지만 (합격한다면) 시도 조차 하지 않고 현역 병사로 입대했다. 지금까지 아무런 소식이 없는 것을 보아 현역 병사 생활을 잘 하고 있는 것 같다. 몇년 전 부터 전문연구요원을 준비했다고 한다면 아쉽지만 다른 길을 알아보아야 할 듯 하다.

<군대 안 가려고 "농사 짓는다" 거짓말>

농어업 활성화를 위해 군 복무를 대체하는 '후계 농어업경영인'이란 제도가 있습니다. 현재 378명이 이렇게 복무 중입니다.

그런데 프로게이머 A씨는 후계 어업인으로 등록해 놓고는 게임 대회 우승 사실을 본인의 SNS에 올렸다가, 이 글이 병무담당자에게 '딱 걸려서' 결국 현역으로 입영하게 됐습니다.

다른 B씨는 '한우를 사육한다'며 후계 농업인으로 등록해놓고는 치킨 배달을 하다가 걸렸습니다.

또 다른 C씨는 충남 청양에서 농사를 짓는다고 속인 뒤 서울에 살다가 적발돼 역시 자격이 박탈됐습니다.

국회 국방위 정미경 의원은 병무청 자료 분석 결과, 지난 2012년부터 4명이 이런 식으로 가짜 농어업인 행세를 하다 적발됐다고 지적했습니다.


대한민국 성인 남자라면 누구나 군대에 가야하죠.
하지만 군복무를 대체하는 방법이 있고, 안 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안 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군 면제 받는 방법]

01) : 병무청에서 지정한 일반 신체조건을 초과하거나 미달할 경우.(ex) BMI 30이상, 키 210cm 이상, 시력 미달, 골절 등등)

02) : 주거가 없는 경우

03) : 이전에 2년 이상의 전과가 있는 경우

04) :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한 경우

05) :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경우

06) : 군복무를 못할 정도로 심각한 질병이 있는 경우


[군복무 대체하는 방법]

01) : 전문연구요원

02) : 산업기능요원

03) : 후계농어업경영인 제도

04) : 공중보건의사, 징병전담의사, 공중방역수의사, 공익법무관

05) : 사회복무요원, 예술체육요원



[후계농어업경영인 제도]

위에 많은 복무 제도들은 대충 알고 있을 것이다.

공부를 잘하거나, 전문직에 종사하거나, 예술 혹은 체육을 뛰어나게 잘한다면 군복무를 감축 혹은 대체복무, 혹은 면제를 해주는 제도인데, '후계농어업경영인 제도'는 무엇일까? 자신의 집이름으로 된 땅에서 3년 이상 농업에 종사한다는 조건으로 군복무를 대체(?)하는 것인데, 사실 자기 가족 집 앞 밭에서 자기가 일하는 것이라서 대체복무라기 보다 면제에 가깝다. 실제로 후계농어업경영인 제도에 합격했지만, 농사만으로는 가계 상황이 어려워 질 것 같아 치킨집에서 배달을 하다가 적발되어 현역 육군 사병으로 징집된 사례도 있다. (모두 불법이다.) 이유는 누구에게 감시를 받는 사항이 비교적 널널하여 복무자가 어디서 언제 무엇을 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집안에 누군가 아는 사람이 농어촌에 종사한다면, 심히 고려해볼만 하다. 후계농어업경영인 제도는 매년 100명 정도 TO가 생긴다.






'Information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스쿨 변호사 연봉 !  (0) 2018.05.13
학교간판 vs 학과 ?  (0) 2018.05.12
전문연구요원 현실 2  (0) 2018.05.12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 특강  (0) 2018.03.29
대학생 식비 절약하는 방법  (0) 2018.03.20

전문연구요원 현실 2


전문연구요원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보겠다.

자세히 어떤 특혜인지 모르는 사람들은 전문연구요원 part1을 보고 왔으면 좋겠습니다.


전문연구요원에 대해서 추천하거나 추천하지 않는 글이 아니니 스스로 판단하고 잘 결정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전문연구요원을 하는 이유) : 95%이상이 군복무를 대체하기 위함일 것이다.


[전문연구요원 장점]

01) : 사병 혹은 장교 보다 비교적 수월하게 군복무를 대체할 수 있다.

02) : 자신이 원하는 분야에서 공부하며, 경력을 쌓으면서 군복무를 대체할 수 있다.

03) : 자신이 원하는 분야에서 경력 쌓으며, 급여도 받을 수 있다.

04) : 군복무를 2년 동안 대체한다는 점이 매우 큰 장점이다.

05) : 전문연구요원을 마친 기관에서 교수 혹은 연구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기회가 높아진다.

06) : 전문연구요원 복무하면서 기업 프로젝트 혹은 심부름을 하게 된다면, 그 기업에 연구원으로 스카웃 될 가능성이 있다.

07) : 전문연구요원 생활을 성공적으로 마친다면, 국내 사기업에서 취직은 문제 없다.

08) : 전문연구요원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연구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다.(결과는 아무도 모름)


[전문연구요원 단점]

01) : 경쟁자가 많고,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이 크다.(실력이 월등하다면 예외사항.)

02) : 차라리 군대를 가고 싶다는 생각이 날 만큼 연구생활이 고단하다.

03) : 연구생활이 고단하며, 급여가 적어 생활고에 시달리는 것은 사병 보다 심할 수도 있다.

04) : 이후 석사, 박사를 하고 실패했을 때의 위험이 매우 크다.

05) : 석사, 박사를 하고도 연구원, 교수직 구직은 매우 어렵다.

06) : 석사 이후에 실패했을 때 나이가 이미 차버려서 사병으로 가기도, 장교로 가기에도 매우 애매하다.

07) : 사실 교수직을 원한다면 사병으로 군복무를 마치고, 해외 탑스쿨을 졸업하는 것이 더 유리하기도 하다.(꼭 국내 교수가 목표가 아니라면)

08) : 기업에 따라 장교출신 연구원을 더 우대하는 경우도 있다.(성격 문제 때문에)



생각나는게 위에가 전부라서 자세히 적지는 못했지만, 독자 여러분들이 알아서 잘 판단해서 읽고 결정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전문연구요원은 절대로 필요한 제도이지만, 현 정부 상황에서는 독려하는 정책은 아닙니다.(현역 병사 인구 수 부족 및 출산율 감소) 미래의 일은 절대로 아무도 알 수 없지만, 석사 2년 투자해서 군복무 대체라는 혜택을 볼 수 있다면 시도해볼만 한 투자이기도 합니다. 어떤 선택을 하시든 좋은 결정하실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한동대학교 전산전자공학부 김인중 교수

김인중 교수


이름 : 김인중

학력 : 한국과학기술원 박사

직장 : 한동대학교 전산전자공학부 정교수

강의 : 운영체제, 알고리듬 분석, 졸업연구 등




 한동대학교 전산전자공학부 정교수로 재직 중인 김인중 교수는 고등학생 때부터 물리, 수학 분야에 두각을 드러낸 인재로 유명하다. 실제로, 고등학교 시절에 '전국 고등학생 수학과학경진대회 물리 부분'에서 동상을 수상했다. 과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에서 가장 실력 좋은 인재들이 모이고, 더욱 실력 있는 인재로 배출시키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입학하게 된다. 김인중 교수는 학부생 때부터 '전문연구요원'을 함으로써 군복무를 대체할 생각을 했을 정도로 자신의 진로에 있어서 매우 계획적이며, 계획뿐만 아니라 시행함으로써 이뤄내는 실행력 있는 학생이었다. 그가 학부생 때부터 희망했던 '전문연구요원' TO를 박사 입학 과정에 등록함과 동시에 전문연구요원 박사 과정을 해냄으로써 군복무를 대체할 수 있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김인중 교수는 박사과정에서 공부를 하며 군대체 복무를 하고 있을 때 국제인명사전 중 하나인 '마르퀴즈 후즈 후 인더 월드'(Marquis Who's Who in the World)에 등재되었다. 인명사전에 등록되는 사람들은 대부분 뛰어난 업적이 있어야 하지만, 김인중 교수는 당시 박사과정에 학업에 몰두하고 있었던 학생에 불과했고, 그렇다고 논문 인용수가 뛰어나게 많은 숫자도 아니었다. 그리고 '제 49차 장영실상'도 수상했을 정도로 전국 각지에서 찾는 실력 있는 연구자로 이름을 날리기 시작했다. 이후 전세계적인 국제인명사전 중 하나인 IBC 인명사전(International Biographical Centre)에도 이름이 등록되는 등 다양한 활동과 뉴스거리를 만들어냈다.

 이후 한동대학교 전산전자공학부 교수로서 2006년부터 근무하기 시작했다. 한동대학교에 와서도 그의 실력은 검증되었고, 입증됐다. '한국정보처리학회 종신회원', '한국정보과학회 종신회원'으로 등록됐고, 나아가 '소프트웨어 산업인의 날 국무총리 표창'을 하게 됐다. 경상도에서 교수직으로 근무하고 있는 동시대 교수로서는 유일했다.

 김인중 교수의 입지는 뉴스나, 정보처리, 정보과학 분야에서만 유명한 것이 결코 아니다. 김인중 교수을 향한 한동대학교 내에 교직원, 학생들의 평가는 한결같았다. "항상 차분하시며, 학생 입장에 도와주시려고 애 쓰신다.", "학업에 있어서 감히 국내최고라고 표현할 수 있으신 분이기 때문에, 수업은 항상 인기있는 편이며 요즘은 서울권 학생들도 대학원 학생으로 입학하는 사례가 점점 늘고 있는 추세라고 했다.", "매우 친절하시다.", "한국에서만 학교를 다니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 영어로 질문해도 영어도 완벽해서 많은 학생들이 교수님의 강의를 찾는다." 등등 칭찬만 가득했다.

 김인중 교수는 이제 한동대학교에서 재직하게 된지 13년 차이다.

전문연구요원 현실

지금 2018. 03. 11 일요일을 기준으로 글을 작성한다.

요즘에도 학부생들 사이에서도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문연구요원을 시도해보겠다는 학생들이 있다. 이런 친구들에게 전문연구요원의 현실을 알려주겠다.

전문연구요원을 하겠다는 학부생 친구들 대부분 학과 학문에 곧잘 잘 따라오고, 잘하고, 흥미가 있는 경우가 많다. (흥미도 없고 재미도 못 느끼고 공부도 잘 못하는 애들이 대학원 가는 경우는 잘 못 봤다.) 그리고 이런 친구들이 전문연구요원이 되는 것이 당연하고, 이런 애들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는 혜택이다.

전문연구원의 현실을 간략하게 알려주겠다.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 학부생 4학년까지는 가능성이 있지만 매우 희박하다(거의 없지만 불가능 하진 않다.). 지금 석사 박사하고 있는 사람들도 넘친다.

2018년 전문연구요원 인원배정표를 보았는가? 900명도 안된다. 국내 자연계, 공학계열 대학원 재학생 중 병역의무를 가진 사람은 몇이나 될까? 잘 모르지만 1,000명은 훨씬 넘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그런데 전문연구요원 TO는 누가 차지하는가? 70%가 카이스트 공학석,박사 들이 혜택을 받는 수혜자이다. 나머지 30%는 서울대, 포스텍, 기타 과기원 및 사립대가 가져가며, 인맥을 둔 운좋은 대학원생들이 조금 가져간다.(아버지 친구 회사에서 전문연구요원TO를 배정받은 경우 실력이 안돼도 인맥으로 입사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그리고 아직 확정된 바는 없지만 2023년까지 폐지를 계획을 했고, 빠른 시일 내에 시행한다고 말을 덧붙였지만 지금도 사실 현재진행형이라고 보면 된다. 산업기능요원도 사실 몇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TO가 줄어왔다. 이유는 현역병사인구가 계속 감축하기 때문이다.

요약하면,
1) 고졸자를 위한 특혜인 산업기능요원TO도 줄고 있다.(3D업종, 중소기업구인난을 해결하고자 만든 제도)
2) 2018년 전문연구요원TO는 1,000명도 안된다.
3) 이중 70%는 카이스트, 나머지 30%는 서울대, 포스텍, 기타 과기원들이 가져간다.
4) 그리고 2023년까지 0에 수렴하는 계획이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5) 글작성 시점으로 학부생 4학년 보다 어리면 현역 입대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6) 공부를 계속해서 하고 싶다면 차라리 해외대학원에 가서 취업비자를 이용해 이민을 하거나,
7) 공익, 상근예비역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더 빠를 수도 있다.
8) 4학년 보다 어린 학부생이 전문연구요원을 한다고 군대를 미루고 있다면 별로 추천하지는 않는다.

요즘은 전문연구요원도 석사가 아닌 박사 채용인원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카이스트를 졸업해도 분야마다 TO가 있어서 TO가 적어 경쟁에서 밀려나면 그땐 정말 힘들다.

공부를 계속하고 싶다면 공익, 상근예비역이 오히려 더 빠른 선택일 수도 있다. 카이스트 갈 실력이 안 된다면 전문연구요원은 정말 추천하지 않는다.

'Information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의 첫인상  (0) 2018.03.20
일본 IT업계 취업 현실  (0) 2018.03.19
직장인들이 많이 앓는 질병  (0) 2018.03.04
학교이름 vs 학과  (0) 2018.03.04
요즘 핸드폰 사는 방법  (0) 2018.03.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