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연구요원 폐지 확실

전문연구요원 , 산업기능요원 폐지가 유력하다. 학령인구는 감소하고 있고 그에 따른 군인 인원도 감소하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산업기능요원과 전문연구요원 제도를 폐지하고 그 인구를 군인 병력으로 충원하려고 하고 있다.

사실 송유근 영재/천재 도 전문연구요원이 될 수 있었지만 (합격한다면) 시도 조차 하지 않고 현역 병사로 입대했다. 지금까지 아무런 소식이 없는 것을 보아 현역 병사 생활을 잘 하고 있는 것 같다. 몇년 전 부터 전문연구요원을 준비했다고 한다면 아쉽지만 다른 길을 알아보아야 할 듯 하다.

<군대 안 가려고 "농사 짓는다" 거짓말>

농어업 활성화를 위해 군 복무를 대체하는 '후계 농어업경영인'이란 제도가 있습니다. 현재 378명이 이렇게 복무 중입니다.

그런데 프로게이머 A씨는 후계 어업인으로 등록해 놓고는 게임 대회 우승 사실을 본인의 SNS에 올렸다가, 이 글이 병무담당자에게 '딱 걸려서' 결국 현역으로 입영하게 됐습니다.

다른 B씨는 '한우를 사육한다'며 후계 농업인으로 등록해놓고는 치킨 배달을 하다가 걸렸습니다.

또 다른 C씨는 충남 청양에서 농사를 짓는다고 속인 뒤 서울에 살다가 적발돼 역시 자격이 박탈됐습니다.

국회 국방위 정미경 의원은 병무청 자료 분석 결과, 지난 2012년부터 4명이 이런 식으로 가짜 농어업인 행세를 하다 적발됐다고 지적했습니다.


대한민국 성인 남자라면 누구나 군대에 가야하죠.
하지만 군복무를 대체하는 방법이 있고, 안 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안 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군 면제 받는 방법]

01) : 병무청에서 지정한 일반 신체조건을 초과하거나 미달할 경우.(ex) BMI 30이상, 키 210cm 이상, 시력 미달, 골절 등등)

02) : 주거가 없는 경우

03) : 이전에 2년 이상의 전과가 있는 경우

04) :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한 경우

05) :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경우

06) : 군복무를 못할 정도로 심각한 질병이 있는 경우


[군복무 대체하는 방법]

01) : 전문연구요원

02) : 산업기능요원

03) : 후계농어업경영인 제도

04) : 공중보건의사, 징병전담의사, 공중방역수의사, 공익법무관

05) : 사회복무요원, 예술체육요원



[후계농어업경영인 제도]

위에 많은 복무 제도들은 대충 알고 있을 것이다.

공부를 잘하거나, 전문직에 종사하거나, 예술 혹은 체육을 뛰어나게 잘한다면 군복무를 감축 혹은 대체복무, 혹은 면제를 해주는 제도인데, '후계농어업경영인 제도'는 무엇일까? 자신의 집이름으로 된 땅에서 3년 이상 농업에 종사한다는 조건으로 군복무를 대체(?)하는 것인데, 사실 자기 가족 집 앞 밭에서 자기가 일하는 것이라서 대체복무라기 보다 면제에 가깝다. 실제로 후계농어업경영인 제도에 합격했지만, 농사만으로는 가계 상황이 어려워 질 것 같아 치킨집에서 배달을 하다가 적발되어 현역 육군 사병으로 징집된 사례도 있다. (모두 불법이다.) 이유는 누구에게 감시를 받는 사항이 비교적 널널하여 복무자가 어디서 언제 무엇을 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집안에 누군가 아는 사람이 농어촌에 종사한다면, 심히 고려해볼만 하다. 후계농어업경영인 제도는 매년 100명 정도 TO가 생긴다.






'Information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스쿨 변호사 연봉 !  (0) 2018.05.13
학교간판 vs 학과 ?  (0) 2018.05.12
전문연구요원 현실 2  (0) 2018.05.12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 특강  (0) 2018.03.29
대학생 식비 절약하는 방법  (0) 2018.03.20
전문연구요원 현실

지금 2018. 03. 11 일요일을 기준으로 글을 작성한다.

요즘에도 학부생들 사이에서도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문연구요원을 시도해보겠다는 학생들이 있다. 이런 친구들에게 전문연구요원의 현실을 알려주겠다.

전문연구요원을 하겠다는 학부생 친구들 대부분 학과 학문에 곧잘 잘 따라오고, 잘하고, 흥미가 있는 경우가 많다. (흥미도 없고 재미도 못 느끼고 공부도 잘 못하는 애들이 대학원 가는 경우는 잘 못 봤다.) 그리고 이런 친구들이 전문연구요원이 되는 것이 당연하고, 이런 애들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는 혜택이다.

전문연구원의 현실을 간략하게 알려주겠다.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 학부생 4학년까지는 가능성이 있지만 매우 희박하다(거의 없지만 불가능 하진 않다.). 지금 석사 박사하고 있는 사람들도 넘친다.

2018년 전문연구요원 인원배정표를 보았는가? 900명도 안된다. 국내 자연계, 공학계열 대학원 재학생 중 병역의무를 가진 사람은 몇이나 될까? 잘 모르지만 1,000명은 훨씬 넘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그런데 전문연구요원 TO는 누가 차지하는가? 70%가 카이스트 공학석,박사 들이 혜택을 받는 수혜자이다. 나머지 30%는 서울대, 포스텍, 기타 과기원 및 사립대가 가져가며, 인맥을 둔 운좋은 대학원생들이 조금 가져간다.(아버지 친구 회사에서 전문연구요원TO를 배정받은 경우 실력이 안돼도 인맥으로 입사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그리고 아직 확정된 바는 없지만 2023년까지 폐지를 계획을 했고, 빠른 시일 내에 시행한다고 말을 덧붙였지만 지금도 사실 현재진행형이라고 보면 된다. 산업기능요원도 사실 몇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TO가 줄어왔다. 이유는 현역병사인구가 계속 감축하기 때문이다.

요약하면,
1) 고졸자를 위한 특혜인 산업기능요원TO도 줄고 있다.(3D업종, 중소기업구인난을 해결하고자 만든 제도)
2) 2018년 전문연구요원TO는 1,000명도 안된다.
3) 이중 70%는 카이스트, 나머지 30%는 서울대, 포스텍, 기타 과기원들이 가져간다.
4) 그리고 2023년까지 0에 수렴하는 계획이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5) 글작성 시점으로 학부생 4학년 보다 어리면 현역 입대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6) 공부를 계속해서 하고 싶다면 차라리 해외대학원에 가서 취업비자를 이용해 이민을 하거나,
7) 공익, 상근예비역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더 빠를 수도 있다.
8) 4학년 보다 어린 학부생이 전문연구요원을 한다고 군대를 미루고 있다면 별로 추천하지는 않는다.

요즘은 전문연구요원도 석사가 아닌 박사 채용인원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카이스트를 졸업해도 분야마다 TO가 있어서 TO가 적어 경쟁에서 밀려나면 그땐 정말 힘들다.

공부를 계속하고 싶다면 공익, 상근예비역이 오히려 더 빠른 선택일 수도 있다. 카이스트 갈 실력이 안 된다면 전문연구요원은 정말 추천하지 않는다.

'Information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의 첫인상  (0) 2018.03.20
일본 IT업계 취업 현실  (0) 2018.03.19
직장인들이 많이 앓는 질병  (0) 2018.03.04
학교이름 vs 학과  (0) 2018.03.04
요즘 핸드폰 사는 방법  (0) 2018.03.04

+ Recent posts